자동차 사출 공정 AI 머신비전 기반 비전검사 난검 불량 탐지 실증 사례
페이지 정보
본문
사출 공정 AI 머신비전 기반 비전검사 난검 불량 탐지 실증 사례
AI 비전 기술을 활용해 사출 공정의 난이도 높은 불량을 정밀하게 판별하는 스마트 품질관리 실증 사례입니다.
1. Pain Point
기존 프로그램 측면
- 주요 공정 중 하나인 사출 공정은 룰베이스 비전검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미지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판정 불가 현상 발생.
- 룰베이스 비전 카메라 프로그램이 사출 공정의 다양한 불량 유형 중에서 ‘가스’, ‘스크래치’, ‘미성형’, ‘광택’과 같은 불량이 빛의 반사로 생긴 것인지 실제 불량인지 제대로 판별하지 못함.
작업자 측면
- 사출 공정 불량 발생 시 현장 작업자가 불량 검출하고 유형 별로 수량을 MES 시스템에 입력하여 수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하고 있지만 불량에 관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함.
- 작업자가 Manual 및 SOP에 따라 생산을 하지만 품목에 따른 현장 작업자들의 세대 교체와 잦은 변경으로 인해 최적의 생산 조건으로 생산을 진행하지 못해 불량이 발생.
2. 스마트공장 구축 내용
세부 내용
- 룰베이스 비전 검사 장비 대신 AI 비전머신 솔루션을 도입.
- AI ㆍ공정 전문가 컨설팅과 솔루션 실증을 통한 수요기업의 제조공정의 정형 비정형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하고 AI솔루 션 개발을 지원하는 데이터 인프라 ㆍ 플랫폼 구축.
- 대상 공정인 사출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형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요 요인들이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공정 최적화 모델을 도출.
3. 스마트공장 구축 효과
도입 전
- 품질예측 없음
- 비전검사 없음
- 공정불량률 8%대
도입 후
- F-1 Score(품질예측) 0.96 달성
- F-1 Score(비전검사) 0.99 달성
- 공정 불량률 4%대로 감소
- 이전글자동차 부품회사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사례 25.07.03
- 다음글공정 불량 데이터 AI 분석과 AI 솔루션 구축을 통한 품질 개선 및 생산성 향상 사례 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