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AI 기반 이상징후 감지를 통한 제약 공정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실증 사례
페이지 정보
본문
AI 기반 이상징후 감지를 통한 제약 공정 설비예지보전 시스템 실증 사례
AI를 이용하여 제조 공정의 설비예지보전을 수행하는 임픽스의 인공지능 솔루션입니다.
1. Pain Point
산업 특성 측면
- 제약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해외 수출의 기본이 되는 의약품 생산기반 측면에서 높은 생산 및 품질관리 경쟁력 확보가 필요함.
- 앰플을 생산하는 공정 설비를 지닌 해당 기업은 전형적인 장치 산업군에 속하며, 한 번의 설비고장에도 대량 생산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예지보전 대상으로 적합함.
- 이를 위해서는 제조공정이 자동화 및 효율화 된 스마트공장 수준을 넘어 데이터 기반의 예측과 사전감지 체계가 구축된 지능형 공장으로의 변화가 요구됨.
데이터 및 시스템 측면
- 제조 및 공정 데이터는 축적되고 있으나, 저장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에 대한 방향성 및 방법론이 부족함.
- 생산 효율을 높이고 공정운영 최적화를 위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AI 시스템 도입이 필요함.
- 또한 실시간 현장 데이터의 자동 수집 및 연계를 통한, 실시간 운영의 가시성 확보 및 지능형 의사결정 지원 체계 도입이 요구됨.
설비 및 인프라 측면
- 설비 운영 및 보전 활동을 위해 기준 이탈 방지를 위한 설비 유틸리티의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방법이 요구됨.
- 실시간 설비의 이상 감지 모니터링을 통한 표준 이탈 패턴을 자율적으로 감지하고 예측하는 AI 솔루션의 도입이 요구됨.
2. AI Solution
AI AD(anomaly detection) Quality
3. 구축 목표
세부 목표
- 제약 공장의 고도화를 넘어선 지능화 공장으로의 도약.
- AI 데이터에 기반한 이상 현상 사전 감지 및 예측 시스템의 구축.
- AI 기반의 현장 데이터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한 의사 결정 체계 구축.
- 앰플 제조 라인의 앰플 세척기와 앰플 충전기를 대상으로 설비예지보전 솔루션 적용.
4. 구축 내용
데이터 통합 관리 기술 적용
- 이종 설비 간 데이터 교환과 분석 조건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관리 기술 적용.
AI 알고리즘 기술 적용
- 설비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 상태를 검출.
- 추출 정제된 데이터의 학습 모델 설계, 알고리즘 추출 및 검증 작업 진행.
- 설비 별 패턴 추출을 통한 Anomaly Detection AI 알고리즘 기술 적용.
설비예지보전 수행
- 무선 진동 센서 기반의 이상 감지를 탐지하고 설비에서 일어나는 각종 문제를 예측하여 설비의 급작스런 고장을 사전에 대비.
- 이를 통한 설비예지보전을 수행함으로써 설비의 대규모 고장을 사전 예방하고, 설비의 고장과 제품의 품질 연관성을 추적하여 AI 빅데이터 분석과 연계 활용.
5. 구축 효과
설비가동률 증가
- 도입 전 90%
- 도입 후 97.5%
공정불량률 감소
- 도입 전 1.5%
- 도입 후 0.95%
- 이전글AI 기반 성형 공정 라인 최적화 모델 도출 실증 사례 25.07.04
- 다음글유기금속 화학전문 회사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사례 25.07.03